top of page

Exhibition, Pavilion

Meta Farm Units Pavilion

대지 위치

경상남도 김해시

대지 면적

용도

전시

규모

건축 면적

연면적

설계 연도

준공 연도

Gimhae is based on agriculture. The total area of cultivated land in Gimhae is 70.15 km2, accounting for 15% of the total area of Gimhae. A farmhouse is a temporary building in the form of a farmhouse warehouse. Under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Farmland Act of Korea, the definition of a farm hut or farmhouse is a housing unit smaller than 20m2. Meta-Farm Units is a small rural house, the Meta-Farm Units was designed to be no larger than 20m2. Configured as a single unit, it was divided into a living unit consisting of a space to take a rest, based on a living room, and a dining unit where residents live, eat, and work.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space, the living unit was designed with two levels. The first floor contains a living room, dressing room, and bathroom, occupying 8.8m2, 4.4m2, and 3.3m2 respectively. The second floor, reachable by stairs leading up from the living room, has a bedroom with an area of 7.1m2 in the space above the dressing room and bathroom. To offer a view of the glass greenhouse from the bedroom, the windows were designed with a sense of openness, allowing residents to look at the outside scenery of plants growing in the greenhouse. The dining unit is a working space where family members can gather for meals and daily life; it can be entered from a deck built without a step, a space residents can enter while wearing shoes. As an integrated structure containing a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the dining unit has a living area of 19.7m2 and a high ceiling with a height of 3 to 4 meters, providing a sense of openness. In addition, the front window of the dining unit offers a full view of the deck and greenhouse, giving the expansive feeling that the dwelling encompasses the entire space of the greenhouse. A house is formed by adding a deck to the combination of the dining and living units. The deck is an intermediary space that connects various other spaces, similar to the wooden floor hall (daecheong maru ) of a Korean traditional house (hanok). It offers a place to fulfill a variety of activities essential to Korean rural life, such as eating, resting, drying produce, and preparing kimchi. Each house has a yard and vegetable garden under the same greenhouse, enabling subsistence farming and self-sufficiency and maximizing efficiency without external environmental constraints. It can also be expanded into a more general-purpose cultivation area that allows sustainable crop production.

In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the configuration of the rooms (kan ) and the division of units (chae ) are basic standards for defining the size of the space. In Meta-Farm Units, the dwelling is divided into units; therefore, small units of space are separated so that those in one space are not visible to those in the other space(s), or the garden and external space are defined in a dwelling composed of multiple units. The Meta- Farm Units is located in a greenhouse environment, so the architectural division of the units and the outer shell of the glass greenhouse are complementary, each making up for what the other lacks. In light of this, seating was placed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living and dining units, allowing family members to rest anytime or interact with each other.

Meta-Farm Units are composed of the basic units of living and dining units and a deck. Based on the size of a small farmhouse, the house has been divided into two units, connected by a deck that reinterprets the wooden floor hall (daecheong maru) of a traditional Korean house (hanok). Outside the house, there is a space to park an electric car, or an electricpowered cultivator or other farm equipment, as well as a lawn and leisure space, with the possibility of plans for further landscaping. Farming tools can be stored behind the house, and the greenhouse is equipped for natural ventilation. Traditionally, in the 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an entire house (hanok) was not built all at once, but was expanded one section at a time, on an as-needed basis. The same applies to Meta-Farm Units, where one living unit then another can be added to a single shared dining unit,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heir needs and lifestyles. This enables separation of public and private areas, and connects multiple living units via the deck, in the style of the wooden floor hall (daecheong maru) of a traditional hanok, so that the assembled parts function as a unified house. Expandable with consideration to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heir lifestyles, Meta-Farm Units can have up to three living units and one dining unit centered around the deck. Inside the greenhouse, spaces were planned for growing not only ornamental plants, but also food crops. Hydroponics technology can be employed to grow produce without external environmental constraints. Through this, the dwelling inside the greenhouse has favorable conditions in term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screening out fine dust, and preventing pests. Once the size of the greenhous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amily and their lifestyles,
the greenhouse is constructed, followed by the dining and living units arranged between the support
trusses of the greenhouse. Then, for example, a 1+1 dwelling type consists of one dining unit and one living unit, with a deck located between them, all situated in a “small greenhouse” measuring 32.25×32.25m. The 2+1 dwelling type consists of one dining unit, two living units, and a deck. The deck of the conventional 1+1 dwelling type is extended so that the additional liv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part of the deck.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units by the deck gives the living unit easy access to the dining unit. This expanded 2+1 dwelling type is situated in a rectangular “medium greenhouse” measuring 32.25×48.375m. In the case of the 3+1 dwelling type, it consists of one dining unit and three living units, connected by a deck of the same size as the 2+1 dwelling type. The entire system is located in a rectangular “large greenhouse” measuring 32.25×64.5m. In this way, applying different sizes of greenhouses and different numbers of units allows for various dwelling typ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amily and their needs.

The dwelling types can be expanded in three stages, and the size of the greenhouse can likewise be expanded to be combined with the corresponding dwelling type. Thanks to the technology and integrated systems of the greenhouse, Meta-Farm Units are not affected by the climate or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space can be easily maintained, creating the desired indoor environment with minimal expenditure of energy. In this way, greenhouses of varying sizes containing dwellings may cluster together to form a large
greenhouse community, which is further expanded into a village. About 25 to 30 greenhouses and
farmhouses form a village. At the center of the village of 25 to 30 greenhouses and farmhouses is a small community center composed of programs such as a spa, fitness club, plaza, and library. This type of village can become a paradigm for a new style of rural housing. In addition, community facilities at the center of a village on a larger scale can be used for public purposes. Greenhouses could be placed by planning a street grid that centers on community facilities in a central location in the village; some of the roads around small community facilities might be designated as bicycleonly roads. Greenhouses organized around the
mallscale community facilities at the center of the village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to follow the layout of the streets. Then, to facilitate bicycle travel to other villages, bicycle-only roads are connected to other
dedicated bicycle roads in neighboring villages. Five or more adjacent villages form a larger community of about 120 housing estates.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playgrounds, sports infrastructure, art galleries, and libraries can be planned as shared public facilities. The bicycle-only roads around the smaller centrally-located community facilities in each village are connected to the others, making it easy to move between neighboring villages, and the larger community center is reachable by bicycle from anywhere within no more than 10 minutes (3 to 4 km).

AEnB2UophgmScrf-bYPf8WTsePAaae-cSrSww_tsOR_zop62Oo_enPxvf6XDzHCbWQBcQTFK4bhssiUg_4G-Uhhk89

경상남도 김해는 평야를 기반으로 농업에 근간을 둔 지역이다. 김해의 경작지 면적은 총 70.15 km2 로 전체 김해 면적의 15%에 해당한다. 농막은 농가용 창고 형태의 가설건축물이다. 농막은 농지법 상 소형 주거의 크기를 고려하여 연면적의 합계를 20m2(6평)이내로 제한한다. 메타 팜 유닛은 소형 농촌주택으로, 단위 유닛 크기를 20m2(6평)보다 작게 하면서 단위 유닛을 하나의 채로 산정했다. 거실을 기반으로 휴식을 취하는 리빙 유닛과 주방을 중심으로 식사하고 생산활동을 하는 다이닝 유닛을 구성했다.

단위 유닛 내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리빙 유닛(채)은 복층으로 디자인했다. 1층에는 거실과 드레스룸, 화장실이 있다. 각각의 면적은 거실 8.8m2, 드레스룸 4.4m2, 화장실 3.3m2이다. 거실에서 계단을 통해 2층으로 올라가면 드레스룸과 화장실 위쪽 공간에 배치한 침실이 나온다. 침실 면적은 7.1 m2이다. 침실에서 온실의 재배 작물을 바라볼 수 있도록 개방감이 큰 창문을 냈다. 식구들이 함께 식사하며 생활하는 공간인 다이닝 유닛(채)은 데크에서 바로 신발을 신고 출입할 수 있도록 단 차이조차도 없앤 구조다. 거실, 식당, 주방이 있으며 면적은 19.7m2이지만 천장고가 3~4m로 개방감이 좋다. 또한 다이닝 유닛의 전면 창호는 데크와 온실 전체 모습을 담아내는 통로로 집이 온실 전체로 확장되는 느낌을 선사한다. 다이닝 유닛(채)과 리빙 유닛(채)이 데크로 이어지면 하나의 집이 된다. 데크는 한국 전통가옥의 대청마루와 같이 여러 공간을 잇는 매개 공간이다. 이곳에서는 식사, 휴식, 작물 건조, 김장 등 한국 농촌의 다양한 생활이 일어난다. 각 집은 하나의 온실 아래 소작과 자급이 가능한 마당 겸 텃밭을 품고 있어 기후변화에 제약 없이 재배의 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생산을 가능하도록 만든다.

한국 전통 주거 건축에서 ‘칸’의 구성과 ‘채’의 나눔은 공간의 크기를 규정하는 대표적 기준이다. 메타 팜 유닛에서는 채 나눔한 단위 공간의 조합과 배치를 통해 주택을 구성하면서 마당과 외부공간을 규정한다. 온실 안에 주택을 둬 채 나눔이라는 건축 유형과 온실이라는 외피 유형이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도록 계획한 것도 특징이다. 리빙 유닛과 다이닝 유닛 사이에 둔 벤치는 언제든지 가족 구성원 간의 교류가 일어나도록 돕는다.

메타 팜 유닛은 단위 유닛인 리빙 유닛, 다이닝 유닛, 데크로 이뤄진다. 소형 농촌주택의 규모를 기준으로 유닛을 나누고 한국 전통건축의 마루를 재해석한 데크로 유닛을 연결한다. 집 앞마당에는 전기차를 주차하거나 전력기기 등을 충전할 여유 공간과 잔디 및 휴게시설을 계획했다. 집 뒷마당에는 농기구를 보관하는 공간을 두었다. 온실은 자연 환기가 가능하다. 한국 전통가옥 유형인 한옥은 한 번에 집을 완성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한 채씩 확장하는 개념을 갖고 있다. 메타 팜 유닛도 이처럼 다이닝 유닛을 중심으로 리빙 유닛을 원하는 만큼 추가할 수 있는 개념이다.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분리하면서 데크로 여러 채의 리빙 유닛을 연결할 수 있어 확장성이 좋다. 메타 팜 유닛은 가족 구성원 수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최대 3개의 리빙 유닛과 1개의 다이닝 유닛 구성이 가능하다. 온실에는 관상용 식물을 비롯해 식용작물을 재배한다고 가정했다. 수경재배 기술을 도입하면 환경적 제약 없이 원하는 품종을 키울 수 있다. 온실 속 주택은 온습도 설정, 단열과 방수, 미세먼지 차단, 병충해 방지 등 여러 측면에서 유리한 조건을 지닌다. 가족 구성원 수와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온실 규모를 결정한 다음 먼저 시공하고 이후 다이닝 유닛과 리빙 유닛을 온실 기둥 사이에 배치할 것이다. 이때 1+1 주거타입은 다이닝 유닛 1개와 리빙 유닛 1개, 그사이에 위치한 데크로 이루어져 있고, 32.25×32.25m 규모의 ‘스몰 그린 하우스 (small green house)’ 안에 위치한다. 2+1 주거타입은 다이닝 유닛 1개와 리빙 유닛 2개, 데크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추가된 리빙 유닛은 1+1 주거타입에서 데크를 길게 확장한 모습이다. 데크로 각 유닛이 서로 이어져, 다이닝 유닛으로 접근하기도 편하다. 2+1 주거타입은 32.25×48.375m 규모의 직사각형 형태인 ‘미디움 그린 하우스(medium green house)’ 안에 위치한다. 3+1 주거타입의 경우 다이닝 유닛 1개와 리빙 유닛 3개, 2+1 주거타입과 동일한 형태의 데크로 이루어진다. 2.25×64.5m 규모의 직사각형 형태인 ‘라지 그린 하우스(large green house)’ 안에 위치한다. 이처럼 거주자의 조건이나 바라는 집의 기능에 따라 공간 관계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주거 타입에는 총 3단계 확장 모델이 있고 용도에 따른 적정 규모의 온실과 조합해 최적의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메타 팜 유닛은 기술과 시스템이 집약된 온실 덕분에 기후나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간을 쉽게 정비할 수 있어 소량의 에너지로 원하는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집을 품고 있는 다양한 규모의 온실이 모여 하나의 마을(Village)을 이룰 수 있다. 온실 약 25~30동과 농촌 주택이 모이면 마을이 될 것이다. 온실 25~30동과 농촌 주택으로 이루어진 마을 중심에는 스파, 피트니스, 광장, 도서관 등으로 구성한 소규모 커뮤니티 시설을 배치한다. 이러한 마을 형태는 농촌 주거 양식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 또한, 마을 중심의 커뮤니티 시설은 공공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마을 중심에 위치한 커뮤니티 시설을 중심으로 격자 도로를 계획하여 온실을 배치한다. 자연스레 온실은 지형과 도로의 구조에 맞춰 자리를 잡는다. 소규모 커뮤니티 시설을 지나는 도로 중 일부는 자전거 전용도로로 둔다. 이때, 자전거 전용도로는 다른 마을의 자전거 전용도로와 연결해 마을 간 자전거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5개 이상의 마을이 모인다는 건 최소 120여 동의 주택이 하나의 영역을 이룬다는 것이다. 이에 단지 커뮤니티
시설로 운동장, 체육관, 미술관, 도서관 등의 대규모 공공시설을 계획한다. 어느 마을에서나 자전거 전용 도로를 이용해 최대 10분 안에 도착할 수 있도록(반경 약 3~4km) 한다.

bottom of page